‘건강’ 챙기는 커피족…기능성 강화 특허출원 활발

국내 커피 시장의 활성화와 함께 커피가 단순한 기호식품을 넘어 건강까지 생각하는 웰메이드 식품으로 발전하면서 건강 기능성을 강화한 커피 특허출원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특허청이 발표한 커피 특허출원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4~2018년) 등록된 커피 특허출원 건수는 543건으로, 이전 5년간(2009~2013년) 건수인 321건에 비해 6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존 커피의 맛과 향뿐만 아니라 카페인의 부작용과 건강을 염려하는 소비자 선호에 맞춰 ‘기능성’을 강화한 특허출원이 활발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성 강화 분야 특허출원 비율은 2009년 10건(19.6%)에서 지난해 58건(59.8%)으로 크게 늘었다. 커피 생두나 커피 추출물을 발효시켜 카페인 함량을 낮추고 항산화 효과로 잘 알려진 클로로겐산 등 유용 성분 함량을 높게 유지하는 식이다. 피로회복에 도움이 되는 홍삼, 쌍화차 재료인 헛개나무, 당귀, 숙지황 등 생약재료를 첨가하는 경우도 있다.

신경아 특허청 농림수산식품심사과장은 "생존 경쟁이 치열한 커피 시장에서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하고 차별화된 판매 전략을 구사하고자 건강 기능성을 강화한 커피 특허출원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반면, 세부 기술 분야별로 특허출원 비율은 커피 과립화와 같은 ‘제형(14.9%)’, ‘로스팅(10.0%)’ 및 ‘추출(7.8%)’ 방법, 단순 ‘풍미 증진(8.5%)’ 등으로 지난 5년간(2014~2018년) 감소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출원인별로(2009~2018년)는 개인 46.3%(404건), 기업 42.2%(368건), 대학 5.0%(44건), 연구기관 1.6%(14건), 공동출원 4.9%(43건)로 나타나 개인 및 기업의 출원이 88.5%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